어른을 위한 발달심리학 12

1. 자아정체성_최최종_찐찐막 - 에릭슨의 이론과 자아정체감 형성

“나는 어쩌다 내가 되었을까?” 30대 중반의 직장인 A씨는 최근 이런 고민에 빠져있습니다. 열정도, 잘못도 넘쳐났던 20대를 지나고 이제 안정적인 직장에 다니고 있지만 뭔가 석연치 않습니다. 자신이 이대로 안주해버리는 것은 아닌지, 그렇다면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싶어 했는지 헷갈립니다. 혹시 이런 고민이 낯설지 않으신가요?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에릭슨은 인간의 생애주기를 나이에 따라 8단계로 구분했습니다. 그리고 각 단계가 그만의 고유한 발달 과제와 위기를 포함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내용이 현대 사회에서 여전히 유효한지 한 번 살펴볼까요? 1단계: 신뢰감 vs 불신감영아기 (0-1세)🔑 세상과 타인을 신뢰할 수 있는가?💡 현대적 의미: 기본적 안전감의 형성 2단계: 자율성 vs 수치감걸..

0. 우리가 아동발달을 이해한다면

“선생님은 잘 안 혼내서 좋아요.” 대학 시절 교육봉사를 하던 중, 한 아이가 제게 이 말을 툭 던졌었습니다. 그때 제 마음은 커다란 돌멩이에 맞은 물웅덩이처럼 오래오래 일렁거렸습니다. ‘어쩌면 어른은 아이를 혼내고만 있었던 걸까?’, ‘오늘도, 지금도, 어떤 아이는 혼나는 중일까?’, ‘왜 그런 걸까?’ 같은 생각이 하나둘 떠올랐습니다. 결국은 “우리 사회가 아동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그리고 오늘날의 어른들이 어떤 아동기를 보내왔는지” 깊은 고민을 해야 했습니다. 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그 이후 저는 아동청소년학을 복수 전공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왜 경제학도 아니고, 아동학이야?” 많은 이들이 의아해했지만, 저는 ‘왜 우리 어른들은 어린이들을 이해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어른이 되어..